본문 바로가기
금융톡톡

2025년 청년 전세자금대출 은행별 비교|조건·금리·한도 총정리

by 정보-톡톡 2025. 8. 6.

 

전세 보증금을 마련해야 하는 청년이라면 청년 전세자금 대출은 반드시 알아야 할 필수 금융상품입니다.
하지만 은행마다 조건과 금리가 조금씩 달라서 어디서 받아야 유리할지 고민되실 겁니다.

✔ 이번 글에서는 국민은행, 우리은행, 신한은행, 하나은행 등 주요 은행의 청년 전세자금 대출 상품을 비교해 보겠습니다.
(2025년 기준, 신청 자격과 금리, 대출한도 최신 정보 포함)


청년 전세자금 대출 은행별 비교


✅ 1. 청년 전세자금 대출 신청 자격 요약

  • 연령: 만 19세~만 34세 이하 (예비 세대주 포함)
  • 소득: 부부 합산 5천만 원 이하/ 신혼 가구는 7천5백만 원 이하
  • 주택: 전용면적 85㎡ 이하, 임차보증금 3억 원 이하
  • 기타: 무주택자 + 보증금 5% 이상 계약금 납부 + 확정일자 필수
  • 신청 시기: 임대차계약서상 잔금 지급일과 주민등록등본상 전입일 중 빠른 날로부터 3개월 이내까지 신청
  • 우대금리: 중소기업 취업(창업) 청년 우대금리 (연 0.3%)
  • 중도상환수수료: 없음

 


✅ 2. 은행별 청년 전세자금 대출 비교

📊 은행별 상품 조건표

은행 상품명 대출한도 금리 (2025년) 특징
국민은행 청년 전용 버팀목 전세자금 최대 1억 5천만 원 (전세금의 80%) 연 2.2%~3.3% 금리 저렴, 서류 간소화
우리은행 청년 전용 버팀목 전세자금 최대 1억 5천만 원 (전세금의 80%) 연 2.2%~3.3% 정부 지원, 저리 전세자금
신한은행 버팀목 전세대출(청년 전용) 최대 1억 5천만 원 (전세금의 80%) 2.2%~3.3% 인터넷, 모바일 신청 가능
하나은행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최대 2억 원(신생아 특례) 연 2.5%~3.5% 모바일 신청 가능

✅ 3. 은행별 특징과 추천 대상

1) 국민은행

가장 대중적인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운영
추천 대상: 소득 요건이 맞는 일반 청년층, 금리 최우선 고려자

기본 금리: 연 2.2% ~ 연 3.3%(2025.07.04 기준, 국토교통부 고시 변동금리)

2) 우리은행

보증기관(HUG) 연계로 한도가 최대 1억 5천만 원까지 가능
추천 대상: 보증금 규모가 큰 전세 계약자

기본 금리: 연 2.2% ~ 연 3.3%(2025.07.23 기준, 국토교통부 고시 변동금리)

3) 신한은행

주택도시기금 전세자금 대출 상품
추천 대상: 청년 가구, 중소기업 다니는 청년층 0.3% 추가 우대금리

기본 금리: 연 2.2% ~ 연 3.3%(2025.06.28 기준, 국토교통부 고시 변동금리)

4) 하나은행

근로자, 서민의 전세자금 지원, 모바일 앱으로 간편 신청 가능
추천 대상: 신혼가구, 청년 가구, 신생아 특례

기본 금리: 연 2.5% ~ 연 3.5%(2025.03.24 기준, 국토교통부 고시 변동금리)


✅ 4. 대출 전 반드시 확인할 점

  1. 금리 + 총 상환금액 확인 (은행마다 금리 차이 최대 1% 이상)
  2. 보증기관(HUG 전세금안심대출 보증, HF 전세자금보증) 승인 여부
  3. 전세 계약서 확정일자 필수
  4. 계약금(보증금 5% 이상) 납부 완료해야 신청 가능

✅ 5. 마무리 & 신청 TIP

청년 전세자금 대출은 상품별로 조건이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2~3곳 비교 후 신청하는 것이 가장 유리합니다.
각 은행 홈페이지 또는 모바일 앱에서 대출 한도 조회(신용점수 영향 없음)를 먼저 해보세요.

🔗 👉 지금 은행별 청년 전세자금 대출 한도 무료 조회하기(주택도시기금)
(※ 신용점수에 영향 없음)